-
[영문법]영어 문장의 5형식영어공부 2013. 12. 2. 16:47
이 블로그는 광고 수익을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혹시 광고 차단(Adblock 등)프로그램을 사용하신다면,
이 사이트에서 광고 차단 기능을 해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항상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장의 5 형식
영어의 모든 문장은 주어 하나와 동사 하나로 되어 있으며 문장은 주어(Subject), 동사(Verb), 목적어(Object), 보어(Complement)가 그 전부다.
바로 이 네 개를 가지고 문장의 5 형식이 만들어진 것이다.
문장의 5 형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한 마디로 말하자면 동사의 종류와 그 성질에 의해 모든 문장은 다섯 개로 나누어진다.
먼저 문장에 목적어가 있느냐, 없냐에 따라 (1) 자동사와 (2) 타동사로 구별 되고
다시 보어와 함께 쓰이느냐 안 쓰이느냐에 따라 완전자동사와 불완전 자동사, 완전 타동사와 불완전 타동사로 구분된다.
[문의 1 형식] : S주어 + V 완전 자동사
[문의 2 형식]: S주어 + V 불완전 자동사 + SC주격보어
[문의 3 형식]: S 주어+ V 완전 타동사 + O목적어
[문의 4 형식]: S 주어+ V 수여동사 + IO 간접목적어+ DO직접목적어
[문의 5 형식]: S주어 + V 불완전 타동사 + O목적어 + OC목적격보어
(1) 자동사(自動詞 Intransitive Verb)
자동사: 주어가 스스로 동작하는 것으로 목적어가 필요없습니다. (예) You go. < 너는 간다. >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예) You go. < 너는 간다. >
■완전자동사
목적어와 보어가 모두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완 전자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보충말)가 필요없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끝나버리므로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완전자동사는 보어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예) You go. < 너는 간다. >
주어 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
주격보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불 완전자동사에서 ‘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완전치 못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불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가지고는 온전한 문장이 안 됩니다. 보어가 있어야만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주어 불완전자동사 주격보어
.
(2) 타동사(他動詞 Transitive Verb)
타동사(他 다를 타, 그이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Transitive [trǽnsətiv 트랜서티브])’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본질적 차이점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가, 안 하는가에 있습니다. 타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타인이나 다른 사물(목표물,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주어 타동사 목적어
■완전타동사
목적어(~을, ~를)만 필요로 합니다.
완전타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가 필요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때문에 완전타동사는 보어는 필요 없으나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주어 타동사 직접목적어
■수여동사
‘누구에게, 무엇을’주는 동사입니다. 授與(수여: 줄 수, 줄 여)란 말이 ‘주다’ 라는 뜻입니다. 직접목적어(~을, ~를)와 간접목적어(~에게)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예) She gives me a letter. <그녀는 나에게 편지를 준다.>
주어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불완전타동사
① 목적어와 목적격보어를 함께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② 불완전타동사에서‘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빠져있어 불완전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불완전타동사는 보어도 필요하고, 목적어도 필요한 동사입니다.
불완전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가 있어야 합니다.
(예) I think him happy. <나는 그가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주어 불완전타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
문장의 5형식
1) 영어의 형식을 배우는 이유
문장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5가지입니다. 기본적인 형태가 있고 거기에 살이 붙어 문장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2. 영어는 순서에 의한 언어이다
주어는 단어 뒤에 ‘-은, -는, -이, -가’가 붙고, 동사는 단어 뒤에 ‘-하다, -다’,
목적어는 ‘-을, -를, -에, -에게’,
보어는 ‘-이다, -되다, -아니다’가 붙습니다.
단어가 어디에 오든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는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문장의 1 형식
1) 1형식
1형식은 영어의 5가지 형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형식입니다.
(1) 1형식문장 ⇒ 주어 + 완전자동사
‘1형식문장’은 ‘주어 + 완전자동사’만 가지고도 온전한 문장이 이루어집니다. 해석은(주어)는(은, 이, 가) (동사)한다’로 합니다.
1형식을 만드는 완전자동사
go (가다), come (오다), run (달리다), walk (걷다), work (일하다), begin (시작하다), end (끝나다), rise (떠오르다), set [set ] (지다), sing (노래하다), bloom (꽃이 피다), shine (빛나다), get up(일어나다)
(예) Boys study. < 소년들이 공부한다. >
주어 완전자동사
(예) Many boys / study hard. <많은 소년들이 열심히 공부한다.>
수식어 주어 / 동사 수식어(부사)
주 부 술 부
“어떤 소년들?” “많은 소년들.” many 는 명사 boys 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어떻게 공부해?” “열심히.” hard 는 study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위 예에서처럼 사용된 형용사와 부사 따위를 ‘수식어’라고 문장에서 빼버려도 맞는 문장입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만 있으면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는 파악됩니다.
위의 보기 문장에 아무리 많은 수식어가 붙어도 1형식문장일 뿐입니다.
1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1형식 문장들입니다. 문장을 잘 살펴보시고 1형식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요소인 “주어 + 자동사”를 파악하고 그 외 나머지 요소들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 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① I go. 주어+완전자동사
② I go to school. 주어 +완전자동사+ 전치사구로서 부사구
③ I go to school by bicycle. 주어+완전자동사+부사구1+부사구2
④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주어+완전자동사+부사구1+부사구2+부사구3
⑤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every day. 주어+완전자동사+부사구1+부사구2+부사구3+부사구4
2) 2형식
(1) 기본설명
2형식은 보어가 추가됩니다.
■2형식문장 ⇒ 주어 + 불완전자동사 + 주격보어
‘주어 + 불완전자동사(주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주격보어가 필요하지만 목적어는 필요하지 않는 동사) + 주격보어’의 구조를 갖춘 문장을 ‘2형식문장’이라 합니다.
‘(주어)는 (명사)이다’, (형용사)하다’, (명사)가 되다’라고 해석합니다.
(예) She became a doctor. < 그녀는 의사가 되었다. >
주어 불완전자동사 명사주격보어
<became ~이 되었다 doctor 의사 >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불완전자동사라 하고 불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을 2형식문장이라 합니다.
(예) I am a teacher. < 나는 선생이다. >
주어 불완전자동사 명사주격보어
am, are, is 는
①‘있다(존재)’, ②‘~이 되다’, ③‘~이다’의 뜻을 가장 일반적으로 갖습니다. 있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1형식문장이 되고
‘~이 되다’, ‘~이다’의 뜻으로 쓰이면 2형식문장이 됩니다.
보어는 보충해 주는 말입니다.
She is.... I am.... They are... .
She is beautiful. I am a student. They are kind.
그녀는 아름답다 나는 학생이다 그들은 친절하다
제2형식의 구조는 주어(S) + 동사(V) + 보어(C)의 형태를 가집니다.
■2형식 동사
2형식 동사의 기본은 be(am, are, is)동사입니다.
be동사는 1형식의 자동사로도 2형식 동사(불완전 자동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Be 동사가 1형식 자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있다”라는 존재를 의미한다.
(예) He is in his room.주어 +동사+부사구 (1형식: 그는 그의 방안에 있다)
* BE 동사가 2형식 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입니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예) She is beautiful.주어+동사+보어 (2형식: 그녀는 아름답다)
Be 동사군의 동사
문의 제2형식을 형성하는 기본 동사는 Be동사입니다. 그러나 Be동사는 아니면서 문의 제2형식을 이루는 동사들이 있는데 이를 “Be동사군의 동사”라고 합니다.
(주의) Be 동사군의 동사라고 해서 무조건 Be동사를 대신해서 쓸 수는 없습니다.
Be 동사군의 동사는 형용사/명사를 보어로 가져오는 Be 동사의 역할만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2형식 동사로는 be, become 이 대표적이지만 주의할 것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의 5가지 감각을 나타내는 동사들도 2형식문장으로 많이 쓰입니다.
감각, 지각에 관계된 동사들: look, feel, smell, sound, taste 등
① 시각동사: look, appear (겉보기에 ~인 것 같다), seem (마음속으 로 ~인 것 같다) 등등
② 청각동사: sound (~하게 들리다)
③ 촉각동사: feel (느끼다, 감촉이 ~하다)
④ 후각동사: smell (~한 냄새가 나다)
⑤ 미각동사: taste (맛이 ~하다)
중요한 것은 이들 동사가 2형식으로 쓰일 때는 다음에 형용사를 보어로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형용사의 해석은 ‘~한’이 아닌 ‘~하게’로 마치 부사처럼 풀이해야 됩니다. .
(예) You look happy. (○) :< look ~을 보다, ~하게 보이다 >< 너는 행복하게 보인다. > You look happily. (×)
형용사(보 어) 부사
(예)
① The shoes look comfortable. (그 신발은 편안해 보입니다)
② I feel hungry. (나는 허기져요)
③ The bread smells good. (그 빵은 냄새가 좋아요)
④ Your story sounds weird. (너의 이야기는 이상하다)
⑤ The soup tastes sweet. (그 수프는 맛이 달콤하다)
(주 의) 문의 제 2형식을 형성하는 be동사군의 동사 뒤에 오는 보어는 반드시 형용사라야만 합니다. 만일 부사가 오면 틀립니다. , 이들 be 동사군의 동사들은 공통적으로 comfortable, hungry, good, weird, sweet 같은 형용사/명사들을 보어로 가져온다.
(2) be (--입니다) 유사 동사들: seem, remain, appear 등
(3) become 동사군: become, grow, run, go, get 등
「주어+동사+보어」
「주 어+동사+보어」의 2형식에 쓰인 동사는 불완전자동사로서 목적어는 쓰이지 않지만 주어를 설명해 주는 보어를 필요로 한다. 보어로는 명사나 형용사, 또는 명사나 형용사 역할을 하는 어구가 올 수 있다. 2형식의 문장을 구성하는 불완전 자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명사나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동사
be동사 become (~이 되다) He is a doctor. (그는 의사이다.) ☞ 명사 a doctor가 보어>
보충학습 : be동사는 대표적인 불완전 자동사이지만 be동사가 완전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 be동사는 장소나 시간의 부사(구)와 함께 쓰인다.
He is in New York now. (그는 지금 뉴욕에 있다.) ☞ in New York now는 부사구>
2.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동사 : get (~이 되다) grow (점점 ~ 되다) look (~하게 보이다) seem (~인 것 같다)
feel (~하게 느끼다) smell (~한 냄새가 나다) sound (~하게 들리다)
주의 : look이나 sound는 「look / sound like+명사」의 형태로도 쓰인다.
It looks like rain. (비가 올 것 같다.)
It sounds like a good idea. (그것은 좋은 생각인 것 같다.)
3) 3형식
(1) 기본설명
3형식문장 ⇒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
‘3형식문장’은 ‘완전타동사(보어가 필요하지 않고 목적어가 필요함) + 목적어(~을, ~를)’의 구조를 갖춘 문장 형식입니다.
해석은 ‘(주어)가 (목적어)를 (동사)하다’로 합니다.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타동사’라 합니다. 그리고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를 ‘자동사’라 합니다.
영어 사전에는 타동사를 ‘vt’, 자동사를 ‘vi’ 로 표시해 놓고 있습니다.
(예) Open the door! <open 열다, 열리다 door 문>
문을 열어라! 문 열어!>
“무엇을 열어?” “문을 열어!” 따라서 예문에서 ‘열다(open)’는 타동사이군요. 영어 사전에는 ‘vt’라고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The door opens inward. ( inward 안쪽으로) 문은 안쪽으로 열린다.
‘열리다’는 자동사입니다. ‘무엇을 열리다’하면 풀이가 다소 어색하죠? ‘열리다’가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영어 사전에서는 ‘열리다’의 뜻일 때는 ‘vi’ 로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예) 이하는 주의를 요하는 타동사들이면서, 시험에 자주 출제 됨.
ⓐ attend (--에 참석하다) He attended the meeting. (o)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reach (--에 도착하다) She reached her school yesterday. (o)
She reached to her school yesterday. (x)
ⓒ resemble (--를 닮다) You resemble your father. (o)
You resemble with your father. (x)
ⓓ survive (--에서 살아남다) They survived the plane crash. (o)
They survived in the plane crash (x)
ⓔ discuss (--을 논의하다) We discussed the project. (o)
We discussed about the project. (x)
3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전형적인 3형식 문장들입니다. 잘 살펴보시고 어떻게 응용되는 지도 한번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나는 의자를 만듭니다) 주어+동사+목적어
② I like to make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주어+동사+명사구로서 목적어
③ I like making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주어+동사+동명사구로서 목적어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나는 내가 의자 만드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설명합니다)
주어+동사+명사절로서 목적어
보충 학습 : 목적어와 보어의 구별
보어는 주어와 동일인이거나 주어의 성질을 설명하지만 목적어는 주어와 이런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She became a scientist. (그녀는 과학자가 되었다.)
☞ 주어 She = 보어 a scientist
She loves the scientist. (그녀는 그 과학자를 사랑한다.)
☞ 주어 She ≠ 목적어 the scientist
4) 4형식
(1) 기본설명
4형식은 목적어가 두 개 필요합니다. 목적어에는 뒤에 ‘-에게, 를(을)’이 붙는다고 했습니다.
4형식문장 ⇒ 주어 + 수여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4형식문장’은 ‘주어 + 수여동사(주다) + 간접목적어(~에게) + 직접목적어(~을, ~를)’의 형식으로 된 문장입니다.
‘(주어)가 (간접목적어)에게 (직접목적어)를 주다’라고 해석합니다.
‘간접목적어’란 ‘~에게’에 해당되는 말이고, ‘직접목적어’란 ‘~을, ~를’에 해당되는 말입니다.
(예) I give her a letter. < 나는 그녀에게 편지를 준다. >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수여동사: teach send tell write lend show buy make
① 기본문형: 4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 (D.O)입니다.
4형식을 이루는 동사를 구체적으로는 수여동사라고 부릅니다.
4형식의 목 적은 “--에게 --을 주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② 수여동사: 영어의 대표적인 수여동사는 “--을 주다”라는 뜻을 가진 “give”입니다.
(주의) 문장이 수여동사를 가진다고 해서 모두 4형식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여동사와 함께 반드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있어야 4형식 문장이 성립합니다.
(예) I will give you a cup of coffee. (난 너에게 커피 한잔을 줄 거야)
③ 간접목적어: 간접목적어란 우리말의 경우 "-에게"라는 조사가 붙어 수여대상이 되는 목적어를 말합니다.
간접목적어도 결국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명사만이 간접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④ 직접목적어: 직접목적어란 우리말의 경우 "을/를"이라는 조사가 붙어 수여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말합니다.
직접목적어도 결국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명사만이 직접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⑤ 4형식 문장을 이루는 주요 수여동사
* 핵심 수여동사: “give” buy ask bring make send read show tell get teach
주의해야 할 4형식 용법
① I give her a letter. < 나는 그녀에게 편지를 준다. > (4형식)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② I give a letter to her.< 나는 그녀에게 편지를 준다. > (3형식)
목적어 부사구
4형식문장은 ‘주어 + 수여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라는 고정된 형식이어야 합니다.
그리 고 간접목적어는 사람 또는 생물이며 직접목적어는 사물 또는 무생물이라는 어느 정도 정해진 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자리바꿈을 하고, 대신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가 붙으면 4형식문장은 3형식문장으로 변해버립니다. 간접목적어가 부사구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예) I buy her a flower.< 나는 그녀에게 꽃을 사준다. > 4형식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3형식문장으로 바꿔볼까요? 그러면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자리를 바꾸고 간접목적어 앞 에 전치사를 붙이면 됩니다.
I buy a flower (for) her. 나는 그녀에게[그녀를 위해] 꽃을 사준다[산다]. >
for her 는 전치사구입니다. 4형식이 3형식으로 바뀌었을 경우 ‘전치사 + 간접목적어’는 전치사구가 됩니다
① tell (teach, send, lend, show, write, give 등)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 tell (teach, send, lend, show, write, give 등) + 직접목적어 +to 간접목적어
(want, allow, expect, warn)일때는" to "
② (buy, make get, order등) 일 때는 "for "
③ (ask, beg, demand )일때는 "of "를 쓴다
*** 직접 건네주는 것, 즉 직접수혜는 to를,
없는 것을 사다 주거나 나들어주거나, 사다주는 등 간접수혜는 for를 사용합니다.********
5) 5형식
5형식문장 ⇒ 주어 + 불완전타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am, are, is) + 목적격보어’의 구조입니다.
We believe you (are) honest. < We believe you. 는 3형식 + you are honest. 는 2형식 = 5형식문장입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
(우리는 믿는다 네가 정직하다는 것을 )
때문에 해석할 때도 ‘우리는 너를 정직하다고 믿는다’처럼 목적어에 ‘를’을 붙여 풀이하는 것보다
‘우리는 네가 정직하다고 믿는다’처럼 목적어에 주격조사(은, 는, 이, 가)를 붙여 풀이하는게 훨씬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① 기본문형:문의 제 5형식을 이루는 기본문형은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보어(O.C)입니다.
② 5형식 동사:5형식 구문을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동사는 “make”입니다.
“Make” 동사를 이용해서 “--을 --로(하게) 만들다”라는 구문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③ 목적보어:(개념 1) 문의 제5형식에 등장하는 목적보어는 목적어의 상태/정체를 보충 설명하는 말입니다.
(개념 2) 목적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역시 명사 혹은 형용사뿐입니다.
주격보어든 목적격보어든 보어는 보어이기 때문에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동일한 것입니다.
④ 5형식 동사:“make”동사를 기본으로 해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5형식 동사 연구.
ⓐ make
㉠ My father made me a teacher.
(5형식: 아버지는 나를 선생으로 만들었습니다)
㉡ My father made me happy.
(5형식: 아버지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었습니다)
5형식 예문과 응용
문 의 제 5형식은 주어(명사) + 동사(동사) + 목적어(명사) + 목적보어(명사/형용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떤 동사가 5형식을 가능하게 만드는 동사인가가 가장 중요한 핵심이며, 다음으론 목적격 보어자리에 들어 올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명사(구), 형용사(구)를 파악하는 것이 그 다음입니다..
(1) 감각/지각동사: see, feel, hear 등
감각/지각 동사가 5형식 동사로 올 때는 목적보어로 형용사가 오거나 원형부정사가 온다.
(예) ① I saw him walk across the bridge. (나는 그가 다리를 건너는 것을 보았다)
② I felt the car move. (나는 그 차가 움직이는 것을 느꼈다)
③ I heard him speak. (나는 그가 말하는 것을 들었다)
(해 설) 다소 생소해 보이는 문장들이지만, walk, move, speak는 모두 원형부정사입니다. 원형부정사란 보통의 부정사가 “to + 동사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반 면, 원형부정사는 “동사원형”의 상태로 부정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원형부정사도 부정사이기 때문에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 적용되어 원형부정사일지라도 품사적으로는 형용사로 사용된 것입니다. 따라서 목적보어로서의 기능이 가능한 것입니다.
(2) 사역동사: have, make 등. 사역동사란 목적어가 --하도록 시키는 동사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겁니다. 영어에 서 대표적인 사역동사는 have와 make가 있는데, 사역동사 역시 감각/지각 동사처 럼 목적보어로 형용사 혹은 원형부정사를 취합니다.
(예) ① I had him cut my hair. (나는 그로 하여금 내 머리를 깍도록 했다)
② He made her cry. (그는 그녀를 울렸다)
(해설) 두 문장 모두 사역동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목적보어로서 원형부정사(cut, cry)를 취하고 있습니다.) 문장의 5 형식
영어의 모든 문장은 주어 하나와 동사 하나로 되어 있으며 문장은 주어(Subject), 동사(Verb), 목적어(Object), 보어(Complement)가 그 전부다.
바로 이 네 개를 가지고 문장의 5 형식이 만들어진 것이다.
출처 : http://blog.naver.com/roh339댓글